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10,000km에서 15,000km에 도달했을 때를 교환시기로 정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그런데 사람에 따라 5,000km에 교환하는 사람들도 있고 8,000km, 10,000km 등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매우 다양합니다. 대체 내 차의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언제일까요?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잘 지키게 되면 자동차 관리 절반 이상은 성공합니다. 엔진오일은 자동차의 심장인 엔진의 수명과 성능 효율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소모품이기 때문이죠. 생각보다 엔진오일 교환주기 잘 모르고, 신경을 거의 쓰지 않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안타까울 노릇이지요.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더 길게 가져갈 수 있을지 영향을 미치는 2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너무 자주 갈면 그게 다 돈이니까요)

1. 자동차 주행거리로 보는 엔진오일 교환주기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5,000km 정도로 알고 계신분들도 있는데 일반적인 세단 기준, 그리고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자동차 주행거리 10,000km에서 15,000km 사이입니다. 물론 5,000km보다 늦게 갈았을 때 엔진오일의 품질이 다소 떨어질 순 있으나, 한국석유관리원의 조사에 따르면 테스트를 했을 때 5,000km 주행 후 엔진오일을 교환했을 때와, 10,000km 주행 후 엔진오일을 교환했을 때 큰 차이가 없었다고 하네요.
가혹 주행조건에 해당되신다면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좀 더 짧게 생각해야 합니다. 짧은 거리 반복 주행, 평소 고속주행을 자주 한다던가, 교통체증이 심해 잦은 정지와 출발이 반복되는 시내 주행 빈도가 잦게 되면 흔히 말하는 자동차의 가혹 주행조건에 해당되기 때문에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더 짧게 가져가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시간으로 보는 엔진오일 교환주기
시간적으로 1년에 한번 정도를 엔진오일 교환주기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엔진오일은 어쨌거나 소모품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품질에 변질이 생기게 됩니다. 엔진오일의 점도나 성질이 변하는 것인데요. 단순히 엔진오일의 성질이 변환하는 것 뿐만 아니라, 엔진오일 양이 점차 줄어 들기도 합니다. 이는 곧 자동차 엔진의 성능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최소 1년으로 지켜야 하는 중요한 이유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평소에 신경쓰고 있지 않다보면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잊어버릴 수 있겠죠?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잘 지키기 위해서는 평소 엔진오일을 체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언제 마지막으로 엔진오일을 교환했는지 기억하고 계신가요? 그 이후로 얼마나 시간이 흘렀는지, 자동차의 주행거리는 얼마나 되는지 1천 km마다 체크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양이 좀 줄었다면 여분의 엔진오일을 가지고 다니다가 필요시 엔진오일을 보충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